
[세종타임즈] 밤하늘의 별을 헤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는 자연스러운 마음이지만, 저 멀리 밤하늘의 수많은 별을 질서 있게 관측하고 기록하는 일은 호기심과 낭만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다.
누가, 어떤 이유로 별을 관측했을까? 이들의 관측 동기는 무엇이었을까? 어떤 관측 기술을 사용하고 발전시켰을까? 국립중앙과학관은 매월 셋째 주 토요일에 개최하는 ‘별의별 과학특강’의 7월 특강은 과학사학자 박민아 교수를 초청해 ‘별 볼 일 있는 사람들의 역사’를 주제로 강연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박민아 교수는 tvN‘벌거벗은 세계사’에 출연 해 마리 퀴리, 뉴턴 등 잘 알려진 과학자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소개해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갔으며 ‘ 과학의 결정적 순간들’, ‘ 과학, 인문으로 탐구하다’등의 저서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강연에서는 천문 관측의 역사와 인물을 소개해 한 여름 별 헤는 밤의 낭만과 지식을 더해 줄 예정이다.
국립중앙과학관 권석민 관장은 “ 7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가족들과 함께 여름밤의 별을 헤아려 보러 가기 전, 필수 준비물 같은 강좌가 될 것” 이라며 “청소년들과 가족단위 관람객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별의별 과학특강’에 참여를 원할 경우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예약할 수 있으며 예약은 7월7일 10시에 시작된다.
해당 강연은 무료로 진행되며 조기 마감될 수 있으나, 예약을 하지 못한 관람객도 불참 발생 등 잔여석에 한해 당일 현장 접수가 가능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