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세종특별자치시가 추진 중인 ‘세종시 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과 관련해,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 남궁영 원장이 입장을 밝혔다.
남궁 원장은 “이번 기관 설립은 세종시의 행정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연구와 평생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이라며, “이는 정치적 의도가 아닌 행정 전문가로서의 순수한 소신과 시민으로서의 상식에 기반한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세종시는 대한민국 행정수도로 자리 잡기 위해 ▶세종시법 제정 ▶국회 및 대통령실 이전 ▶세종지방법원 설치 ▶한글문화도시 조성 ▶교육·경제 특구 개발 등 다양한 행정과 정책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대전세종연구원 산하 세종연구실이 대전연구원의 한 부서로 운영되면서, 연구 기능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세종시 차원의 독립 연구기관 설립이 시급하지만, 현재 연구원 규모(연구원 13명, 지원인력 5명)로는 단독 설립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세종시 산하 출연기관인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현원 23명)과 통합해 40~50명 규모의 연구기관을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라는 것이 남궁 원장의 설명이다.
일각에서 연구·교육 기능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남궁 원장은 “연구와 교육 기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지원 인력 통합을 통해 오히려 연구·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 성과가 시민과 공무원 교육에 직접 활용될 수 있고, 연구진이 교육 과정에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세종시 공무원 교육도 기존에는 대전·충남에 위탁했으나, 지난해부터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직접 운영하면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남궁 원장은 “통합 운영이 이루어지면 공무원과 연구진,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정책을 논의하고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교육 모델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종시 출연기관인 세종연구실(대전세종연구원 소속)은 현재 세종시의회 행정사무감사나 업무보고 등의 통제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남궁 원장은 “세종시가 출연하는 기관이라면 당연히 의회 감사를 받아야 하지만, 현재 연구원의 주요 업무는 대전연구원장 지휘 아래 운영되고 있어 시의회의 관리·감독이 원활하지 않다”며 “세종시 독립 연구기관으로 운영될 경우 의회 통제 아래 보다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연구 활동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원과 평생교육원이 통합되더라도 현재 운영 중인 시민 교육장은 그대로 유지되며, 오히려 신도시 지역의 교육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사용 중인 박연문화관 사무공간을 교육장으로 전환해 시민 접근성을 높이고, 더욱 많은 시민이 양질의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남궁 원장은 “시민의 행정 수요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의회가 집행부가 일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도록 지원하고, 이후 성과를 평가해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정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세종시의 발전을 위해 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며, 조속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라며, “시민과 공무원, 연구진이 함께 정책을 만들어가는 새로운 모델이 구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