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최민호 세종시장이 한글문화글로벌센터 조성과 2026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개최로 인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산업화 전략이 필수적이라며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최 시장은 2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며, 특히 외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캐릭터 산업 육성과 청년 창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최 시장은 “2026년 세계대학경기대회가 다가오고 있지만, 세종의 지역 정체성을 담은 기념품조차 부족한 실정”이라며 “지역 청년들이 세종을 상징하는 캐릭터를 개발하고, 기념품점을 직접 운영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캐릭터 산업을 적극 육성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하고, 관광객 유인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며, 신도심과 조치원 지역의 공실상가를 창업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세종한글문화글로벌센터가 문화단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10년 이상의 긴 안목이 필요하다며, 외국인 대상 산업화를 위한 선제적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그는 “한글문화글로벌센터가 완전히 자리 잡으려면 시간이 걸리는 만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카페·활동 공간 등 다양한 한글 산업화 계획을 지금부터 체계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6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와 관련해, 충청권 전체를 연계한 관광코스 개발 필요성을 강조하며, 구체적인 방안으로 광역 관광투어 버스 운행을 제안했다.
최 시장은 “세종시티투어버스를 증차하면 좋겠지만, 대당 12억 원가량의 비용 부담이 크다”면서 “세종 관광명소와 함께 충북 청남대, 충남 공주·부여를 연결하면 경제적 파급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충청권 광역 관광투어 버스를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흥이나유’ 프로젝트와 연계하거나, 충청권광역연합 및 서부내륙권 발전사업과 연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줄 것을 주문했다.
오는 28일 첫 시행되는 대중교통의 날과 관련해 시범운영을 거쳐 3월부터는 더욱 많은 시민이 동참할 수 있도록 확산해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버스 내 안내방송을 활용해 지역산 상품 애용과 지역 상권 살리기에 대한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세종사랑운동의 범시민적 실천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끝으로, 해빙기를 맞아 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내 공사장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할 것을 주문했다.
최 시장은 “해빙기에는 지반이 약해져 안전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사전 점검을 철저히 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발굴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